무기창고

M1 에이브람스 전차 에대해 알아보자 본문

무기리뷰/지상장비

M1 에이브람스 전차 에대해 알아보자

White album화엘 2020. 7. 20. 15:47

M1 에이브람스 전차 에대해 알아보자






전장: 포신 포함 시 9.77 m

전폭: 3.66 m

전고: 2.44 

중량: M1 55 t

주무장: M68A1 105 mm 52구경장 강선포

엔진: AGT-1500 터빈 엔진허니웰 LV100-5 터빈 엔진

마력: 1,500 hp (1119 kW)

전면장갑: 강철구조물, 복합장갑

측면장갑: 강철구조물, 공간장갑

상부장갑: 강철구조물

방어 수단: 연막탄, 소프트킬 능동방어(옵션)

장갑방식: 복합장갑, RHA


전차의 등장은 기존전쟁양상을 바꿔놨습니다. 적 진지를 돌파하여 아군에 진격로를 향상하고 포를 이용해 적진지를 초토화시키는 전차는 그야말로 지상전에서 절대자로 군림하여 전차를 막기위해서는 전차를 이용하는것이외에는 방법이없었습니다. 하지만 항공기술력의 발달로 

전차는 더이상 절대적인 존재가아니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전차는 더이상 쓸모없는 무기체계일까요?

아닙니다 아무리 항공기술력과 미사일 기술이발달한다한들 전장에서 적총탄과 포탄으로 부터 방패가되어 보병을 지켜주는 역할은 그어떠한 무기체계도 흉내낼수없습니다.

오늘알아볼무기는 세계최강의 군사력을 보유한 미국의 주력전차 M1에이브람스 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1에이브람스 전차 개발역사


냉전당시 소련의 엄청난 수량의 기갑차량에 대항하기위해 미국은 서독과함께 MBT-70이라는 이름으로 전차계발을 시작합니다.

계발초기 양국은 잘진행되는듯싶었으나 152mm건런처를 장착하고싶은 미국과 120mm포를 장착하고싶은 독일 이와같은 전차포에를 비롯한 여러가지 의견충돌로 인해 결국 양국가는 사업을 파기하고 각자 독자개발하는것으로 노선을 변경하게됩니다.


이에 독일은 레오파르트2 전차를,미국은 오늘의 주인공M1에이브람스를 개발하기에 이릅니다.


이후 1980년부터 양산에 돌입하여 1981년 실전배치, 1985년까지 3273대가량 생산되어 40년이지난지금시점까지 개량에 개량을 거듭하여 미국의 주력전차를 담당하고있습니다.


MBT-70사진



M1에이브람스 전차의 화력 및 무장



M1초기형의 경우 M68A1포를 사용했으나 개량형인 M1A1부터는 M256활강포를 사용했습니다. 

오늘 주인공인 초기형M1에이브람스의경우  M68A1 105mm 52구경항 활강포를 사용했는데 에이브람스의경우 타국의 전차와는 차별적인 포탄을 사용했는데 그이름은 바로 "열화우라늄탄" 입니다. 열화우라늄탄의경우 낮은 열전도로 인해 자기첨예화현상이일어나 관통력이 기존탄보다 월등히높은데 기존의 텅스텐탄두의경우 목표와충돌시 단열압축에 의해 발생한 높은열로 포탄끝부분의 모형변형이일어나 관통력이 줄어들지만 열화우라늄탄의경우 그렇지않기에 기존탄보다 높은관통력을 자랑하고있습니다. 거기에 가격도 저렴하다는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위험성도역시존재하는데 이름에서보이듯 방사성을 띠고있으므로 피격시나 이를 운용하는 병사의 건강에 유해한것은 사실입니다.



열화 우라늄탄




M1에이브람스 전차의 방어력



M1에이브람스의경우 기본형M1을 기준으로 영국제 초범장갑 개량형을 사용했는데 전면 845mm ,측면500mm의 두께를 자랑하고있는데 

대전차고폭탄의경우 750mm의 방어력을 가지고있고 철갑탄의경우400mm의 방호력을 가지고있기에 에이브람스전차의 방어력은 세계정상급이라 평가할수있을거같습니다.

추후 개량형들부터는 장갑재역시 포탄과 마찬가지로 열화 우라늄장갑을 사용했는데 이로서 개량형의경우 기존보다 훨씬향상된방어력으로 꾸준한 개량을통한 정상급전차의 지위를 유지하고있습니다.


m1전차의 위치별 장갑




M1에이브람스 전차의 기동력과 가스터빈 엔진



기존의 보통의 전차들의경우 디젤엔진을 사용하는데 M1에이브람스의 경우 터보샤프트 방식의 가스터빈 엔진을 사용합니다.

가스터빈엔진을사용하는 이유는 디젤보다 크기가 작기에 공간확보에있어 보다 유리한점이있고 구조역시 단순해 야전에서의 정비성역시 좋은편입니다. 무엇보다 가스터빈엔진을사용하는 가장큰이유는 순간가속성인데 이는 정지상태에서 적대전차미사일등으로부터 회피기동을하기에 유리합니다.


물론 장점만존재하는것은아닙니다. 우선 실제 전장에서 운용해보니 가스터빈특성상 엔진열이 상당한데 이를 식히기위해 냉각장치와 필터까지커져 사실상 크기에서오는 이점은 미미합니다. 거기에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엔진의 특성상 블레이드 수명이 잛고 흡기량이 많아 필터의수명역시 짧아졌는데 이는 야전에서 디젤엔진보다 부품교체주기가 짧아 작전 지속가능성에 문제가있습니다.

거기에 연비가 상상을 초월하는데 우스갯소리로 M1에이브람스의 연비는 달리면서 100달러를뿌리면서 다닌다고할정도로 연비가 심히 나쁜데 레오파르트2의경우 리터당 460m를 가는데 반해 M1에이브람스의경우 리터당 260m라는 최악의 연비를 자랑합니다.

다만 이의경우 산유국임과동시에 어마무시한 국방비를 사용하는 미국에게있어서는 별다른 큰문제가 아닐듯합니다.


가스터빈엔진



M1에이브람스의 특징및 사격통제장치


M1에이브람스 의경우 열화 우라늄탄을사용한다는 것과 가스터빈엔진을사용 하는것으로도 기존전차와 차별성이있지만

가장큰 장점및 특징은 바로 우수한 네트워크화 및 사격통제장치입니다.

FBXB-2(Force ⅩⅩⅠ Battle Command for brigade and Below)라는 네트워크 전장시스템을 채택하고있는데 이는 아군의 모든 전투수단에서 획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정보를 공유할수있으며 지도상아군의 위치를 식별가능하여 피아식별능력이 매우뛰어난데 이는 거프전당시 모래폭풍이치는 순간에도 피아식별을함과동시 이라크군의 전차정보를 아군과  연계하여 일방적으로 학살한것으로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M1에이브람스에관한 여담


국군이 운용중인K-1전차의경우 M1에이브람스전차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았는데 그로인해 외형역시 상당히 비슷합니다 .

물론 외형이 비슷하고 영향을 받은것뿐이고 요구하는 교리자체가 다르다보니 세부적으로는 완전다른전차로 파생형이라기보단 M1에이브람스를 벤치마킹한 완전 다른 전차라고보는것이맞습니다.

여담이지만 비슷한 외형으로 인해 미군은M1전차와비슷한외형을가졌지만 조금더작은 K-1전차를 보고는 베이비 에이브람스 라고부르곤합니다.


m1에이브람스와 비슷한외형을가진 국군의 k-1전차





M1에이브람스 전차에대한 최종평가



M1에이브람스의경우 최초 버전이나온시점을기준으로 40여년이 지난지금시점까지도 꾸준한 개량을통해  수많은 바레이션을 만들고있습니다. 또한 엄청난 공격력과 방어력 이를 가능케해주는 뛰어난 사격통제장치와 압도적인 네트워크화,수많은 실전경험을바탕으로한 꾸준한 개량으로 단점이라고는 찾아보기힘든 전차라 볼수있을거같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한 개량을통해 정상의자리를 유지할것으로 보입니다.




Comments